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불편한 진실

황교익이 뜬금없는 격렬한 떡볶이 논란에 대해 직접 답했다 본문

리빙

황교익이 뜬금없는 격렬한 떡볶이 논란에 대해 직접 답했다

author.k 2018. 1. 24. 16:07
반응형

‘떡볶이 논란’에 대해 맛칼럼니스트 황교익 씨가 답한 내용이다.

-여러 전문가로부터 미각의 절대적 기준은 없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학습’이라고 한다면 떡볶이와 치킨만이 학습된 것이 아닐 것이고, ‘세뇌’는 전혀 다른 얘기다. ‘사회적 세뇌 ’라고 말하게 된 배경에 대한 설명이 좀 필요할 것 같다 .

=“최 대표의 의견에 동의한다. 인간이 태어나서 맛있다고 느끼는 것은 단맛 , 감칠맛 , 짠맛 세 가지뿐이다 . 그 외의 쓴맛 신맛을 포함한 여러 종류의 음식에 대해 한 취향은 7살 이전에 어떤 향과 음식에 쾌락을 붙였느냐에 따라 세팅이 된다고 본다. 7살은 홀로 먹이활동을 하기 시작하고 부모 객체와의 ‘심리적 유기’ 가 일어나 독립된 개체가 되는 시기다. 인간은 어느 인종이건 어느 국가의 국민이든 간에 감각기관과 뇌는 동일하다. 기호와 혐오 음식이 나뉘는 건 유아기에 어떤 음식을 먹어냈는가의 차이에 따라 발생한다 . 우리가 음식을 본능의 영역이 아니라 문화의 영역으로 보는 이유다 . 특히 나는 이 기간에 엄마와 아이 사이에는 ‘쾌락의 복사 ’라는 작용이 일어난다고 본다 . ‘복사 ’는 누군가 정의한 것은 아니고 ‘학습 ’과 구분 짓기 위해 내가 사용하는 말이다 .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신맛과 쓴맛을 거부한다 . 아이들에게 시거나 쓴 것을 먹이면 진저리를 친다 . 그런데 아이는 엄마가 쓰거나 신 것을 맛있게 먹는 것을 보고 함께 경험하며 신맛과 쓴맛에 쾌락을 붙이는 방식으로 먹어낸다 . 이때는 아직 의지를 갖추고 있는 상태가 아니라는 점에서 학습과는 조금 다르다 .”

-사람들이 떡볶이에 어린 시절 많이 노출되었기 때문에 떡볶이를 좋아한다는 뜻인가 ?

=“한국 사회에선 떡볶이에 노출되는 횟수가 많았다 . 이건 정치권력과도 연관이 있다 . 우리가 언제부터 쌀 떡볶이를 많이 먹게 되었는지를 생각해보자 . 우리나라의 쌀 자급률은 이미 박정희 때 100%를 넘었다 . 그런데 1986년 우루과이 라운드 이후 우리 정부는 쌀을 의무수입했다 . 김대중 , 노무현 정부 때는 남는 쌀을 북한에 보냈다 . 이명박 정부 들어 북에 쌀을 보내지 않게 되자 쌀이 남아돌았다 . 결국 의무 수입된 가공용 쌀을 두고 정부에서 고민하다가 그 한 방편으로 쌀 떡볶이 붐을 일으켰다 , 2009년, 이명박 정부 초창기에 한식 세계화를 한다며 ‘떡볶이 연구소’를 세웠고 프랜차이즈를 장려했다 . 이 시기를 지나며 사회적으로 떡볶이에 대한 노출이 늘었을 것으로 본다 .”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의 문정훈 교수는 “이명박 정부에서 남는 쌀의 소비를 장려하기 위해 떡볶이 사업을 시작한 것을 사실”이라며 “지금도 정부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편의점 도시락이나 쌀로 만든 전통주 소비를 장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확인 결과, 이명박 정부 시절인 2009년 3월 떡볶이 연구소가 공식 출범했으며 , 5년간 140억원을 쏟아부을 계획을 그렸다 . 그해 농림식품수산부는 떡볶이 프랜차이즈 업체가 1075개에서 1600여개로 급증했다고 분석했다 .)

-어묵도 아니고, 족발도 아니고 굳이 치킨과 떡볶이를 꼬집어 말한 이유도 사회적인 맥락 때문인가 ?

“그렇다 . 이 두 음식이 정치적으로 가장 이용당하기 쉽다고 생각했다 . 치킨이 한류 열풍의 주요한 음식이고 이 치킨을 세계인들이 다 자랑스러워 할 치맥이라고 선전하지 않았나 ? 이용당할 수 있는 일이기 때문에 주의를 환기하는 차원에서 계속해서 이야기하는 것이다 . 나는 내 역할에 충실한 것일 뿐이다 . 나는 언론인이다. 먹거리에 대해서 깊이 생각하고 해야 할 말이 있으면 하는 것이 나의 일이다 . 대중들이 좋아할 만한 말만 하게 되면 나는 연예인이 되는 것이다 . 내가 한 말을 두고 분노하는 심정도 충분히 이해한다 . 라면 먹고 있는데 옆에 와서 ‘라면 맛없다’ 그러면 화를 내는 게 당연하다 . 자신의 불편함을 호소하는 방식으로 욕설하는 것을 당연한 일이다 . 그러나 나도 이 말을 그만둘 수는 없다 .”

-논란이 될 발언을 한 게 여러 번이다 . 예전에는 ‘1980-90년대 한국의 모유 수유율이 낮아 당시에 태어난 세대가 단맛에 길들여 졌다 ’는 발언이 문제가 된 적도 있다 . 이렇게 이슈 파이팅을 하는 이유가 전에 '한국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말했듯이 ‘헤게모니 ’(패권)를 잡기 위한 것을 아닌가 생각된다 .

“음식 관련되는 글쓰기를 한 지 20년이 넘어가는데 , 그중에는 사회적으로 불편해할 만한 내용이 많다 . 그런데 이는 그런 이슈가 한국 사회에 많았기 때문이지 내가 의도적으로 이슈 파이팅을 한 것은 아니다 . 모든 글쟁이는 대중들한테 자신의 글이 관심 깊게 읽히기를 바라고 그 글의 내용을 인정받기를 원한다 . 글쟁이가 대중으로부터 인정받는 것을 ‘헤게모니 ’라고 표현한 것이다 . 대중한테 인정받지도 못하면서 ‘나는 그냥 쓸래 ’라고 생각하는 글쟁이는 없다 . 최종의 욕구는 인정욕구라고 생각하고 , 난 그 욕구를 드러내놓고 얘기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