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편한 진실
"정두언, 산에서 자살" 정두언 인터뷰 안타깝네요 좋은곳으로 가시길 바랍니다. 본문
나이 쉰이 채 안돼 최고 권력을 만들었다. 2인자의 지위를 구가할 수도 있었지만 정적들에 밀려났다. 떼밀려 간 곳은 구치소. 열 달 옥살이를 하면서 신을 ‘다시’ 만났다. 3선 국회의원으로 복귀했으나, ‘도루묵 삶’이 됐다. 4선의 문턱을 넘지 못한 낙선 뒤 찾아온 건 극심한 우울증. 목을 맸지만 신은 그를 데려가지 않았다. 불행은 끝이 아니었다. 정치 인생의 동반자이자 동업자였던 아내와 갈라섰다. 그 덕에 새 인연을 만났는지도 모른다(그는 올해 재혼했다). 그렇게 다시 태어났다. 제2의 생을 살고 있는 그, 정두언이 ‘삶도’ 인터뷰의 첫 주인공이다.
“내가 악몽을 꾼 건가. ‘여기가 어디지’ 싶더라고. 가죽벨트로 맸는데.”
얼마 전이었다. 그 엄청난 얘기를 정두언(61) 전 의원은 대창을 씹다가 말했다. 가까운 기자들과 저녁을 먹는 자리였다. ‘이 양반이 지금 무슨 말을 하는 건가’ 싶어 고개를 들어 쳐다봤다. 어제 본 드라마 얘기를 하는 것보다 담담한 표정이었다.
“힘든 일이 한꺼번에 찾아오니까 정말로 힘들더라고. 목을 맸으니까. 지옥 같은 곳을 헤매다가 눈을 떴어. 한동안은 여기가 어딘지 가늠이 안되더라. 내 딴엔 짱짱한 걸 찾는다고 벨트를 썼는데…, 그게 끊어진 거야.”
그 사연을, 그래서 다시 얻은 삶을 진지하게 들어봐야겠다고 그 때 생각했다. 인터뷰의 취지를 듣더니 정 전 의원은 대뜸 말했다. “지금까지 한 인터뷰 중에 제일 어렵겠네요.” 그리곤 이렇게 말을 이었다. “하긴, 내가 드라마틱하게 살긴 했지.”
-왜 극단적인 행동을 했던 건가.
“인간이 본디 욕심덩어리인데, 그 모든 바람이 다 수포로 돌아갈 때, 그래서 ‘내가 이 세상에서 할 일이 없겠구나’ 생각이 들 때, 삶의 의미도 사라진다. 내가 이 세상에서 의미 없는 존재가 되는 거다. 급성 우울증이 온 거지. 사실 (2016년 총선) 낙선 자체는 그렇게 힘들진 않았다. 내 잘못이 아니었잖나. 친박의 행태와 국정농단으로 국민의 분노가 폭발했으니 (보수당이) 잘 될 리 없었다. 문제는 낙선 뒤였다. 고통에서 피하려면 죽는 수밖에 없으니 자살을 택한 거야. 14층 건물에 불이 나서 불길에 갇힌 사람이 뛰어 내리는 거나 비슷하다. 그 일이 있고 나서 병원을 찾았다. 그냥 있으면 또다시 스스로 해칠 것 같아서. 생각해보면 진짜 나도 살면서 가지가지 한다 싶다.”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두언 전 새누리당 의원이 16일 오후 서울 홍은동 실락공원에서 숨진채 발견됐다. (0) | 2019.07.16 |
---|---|
정두언 전의원 마지막 모습.... 부인이 먼저 신고를 했나 보네요 (0) | 2019.07.16 |
중소마트들에 이어 대형마트까지 일본제품 판매 축소·중지에 나서면서 일본 불매운동이 유통계 전체에 확산될 조짐 (0) | 2019.07.16 |
오늘도 손석희 귀한줄 알고 무릎을 탁 칩니다. (0) | 2019.07.15 |
정미경 발언 “세월호 한척으로 이긴 문대통령”…웃음 터뜨린 나경원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 (0) | 2019.07.15 |